시의 표현 방식
시인의 생각 · 정서(표현) → 작품(운율, 비유, 상징) → 독자(읽기, 이해, 감상)
<시상의 전개>
· 반어, 표현방식, 시적장치, 질서
- 시상: 시에 담긴 생각이나 정서
- 운율: 시에서 느껴지는 리듬감
- 비유: 유사한 대상에 견주어 표현하기
- 상징: 추상적 의미를 구체적 대상으로 표현하기
- 반어: 반대로 표현하기
· 시상 전개 방식
- 시상을 전개해 나가는 일정한 규칙, 질서, 방식
- 시간의 흐름, 공간의 이동, 시선의 이동, 수미상관(머리수, 꼬리미 /시의 처음과 끝과 비슷 유사 형태), 신경후정(선 풍경 후 감정) 등
- 시의 주제와 의미, 특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됨
· 시상 전개에 사용되는 시적 장치
- 운율, 비유, 상징, 반어 등의 표현방식
· 운율: 시어 자에 혹은 시어들 사이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리듬감(운문, 음악성)
· 윤율 형성 방법: 글자수 조절, 비슷한 소리나 시어의 반복
· 비유: 어떤 대상을, 그와 유사한 성질을 지닌 다른 것에 견주어 표현하거나 그것과 대체할 만한 말을 나란히 놓아 대상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방법
· 상징: 어떤 대상에서 떠오르는 추상적 의미나 관념적 이미지를 구체적인 대상으로 표현하는 방법
· 반어: 실제로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와 반대되는 말로 표현하는 방법
· 시의 화자
- 화자: 시에서 시이느이 감정이나 생각을 전달하는 사람
- 화자의 정서: 화자가 느끼는 다양한 감정
- 화자의 어조: 화자의 목소리나 말투
- 화자의 뜻: 시 속에서 시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드러내 주는 사람
- 화자의 역할: 시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
· 화자의 유형
- 시인과 화자가 일치하는 경우
- 시인과 화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
· 화자의 어조
- 시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목소리나 말투
- 상황에서 대상에 대한 화자의 정서나 태도를 드러내는 경우가 많음
- 독백적, 고백적, 예찬적, 비판적, 격정적, 성찰적, 해학적, 의지적, 체념적 등
- 애절한 이별의 슬픔을 말하고 싶을 때: 강인하고 굳센 남성의 씩씩한 목소리보다 연약하고 여린 여성의 섬세한 목소리가 더 효과적임.
· 시의 화자는 가면을 쓴 인격체?
- 시인이 여러가지 형상과 표정을 한 가면을 쓰고 이야기를 하는 것
- 시를 읽을 때 시인의 맨얼굴만 떠올리려 애쓰지 말고 시인이 쓰고 있는 가면이 어떤 모습이나 표정일지 상상해 보고 그것이 어떤 상황 때문에 만들어지는 표정이나 모습일지 추측해 보기
· 사회적 상황: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
=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
· 문화적 상황: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삶의 방식
=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, 공유,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양식으로, 의식주, 언어, 풍습, 종교, 학문, 예술,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
· 역사적 상황: 사회와 문화의 시대적 변화
=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는 그 기록
1. 작품(시)과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
· 시인이 작품 속에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횡을 직접 드러내는 경우
· 시인이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을 작품 창작의 배경으로 삼는 경우
· 화자, 운율, 심상, 함축적 의미 등을 통해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을 드러낸다.
※ 함축적 의미: 사전적 의미와 외에 작품 속에서 새롭게 만들어 지는 의미
2. 독자와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
· 시인이 작품을 읽는 독자도 읽정한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.
· 시에 나타난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과 독자가 처한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횡을 비교해 본다.
· 똑같은 작품을 읽더라도 독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작품에 대한 느낌, 해석, 관점이 달리질 수 있다.
3.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을 고려한 시 감상법
· 시인이 시를 쓸 때 창작배경이 되는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을 알아본다.
· 시 속에서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을 보여 주는 시어들을 찾아본다.
·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사회, 문화, 역사적 상황과 관련지어 파악해 본다.
시의 보편성과 특수성
· 시에 담긴 삶의 가치
- 시에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그들이 중시한 가치가 반영됨
· 시의 보편성
-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보편적인 가치나 의미가 시에 담김
· 시의 특수성
- 특정한 시대와 문화 속에서의 특별한 가치나 의미가 시에 담김
· 시의 현재적 의미
- 시에 담긴 가치를 오늘날의 관점에서 성찰하고 평가하여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통찰할 수 있음
· 시에는 시인이 살아간 시대와 몸담은 문화 등 당시의 삶의 모습과 당시 사람들이 중시했던 가치가 담겨 있음.
· 시에 반영된 과거의 삶의 모습과 가치를 파악하고 오늘날의 삶과 비교하며 감상해야 함.
※ 보편성: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
·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공감할 수 있는 가치
· 오늘날에도 변하지 않는 보편적인 가치나 의미
※ 특수성: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과 다른 성질
· 특정한 시대와 문화 속에서의 특별한 가치나 의미
· 오늘날에는 달라진, 과거의 특수한 삶의 가치
· 시의 현재적 의미
- 시에 담긴 보편성과 특수성을 발견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을 성찰함
- 시대에 따른 삶과 인식의 변화 속에서 오늘날까지 변하지 않는 가치나 오늘날의 관점에서 새롭게 평가될 수 있는 가치를 시를 통해 발견하고 통찰
- 시에 담긴 과거의 삶의 가치를 오늘날과 비교하며 오늘날의 관점에서 새롭게 평가함